728x90
반응형

비전공자가 공부하려고 작성한 내용입니다. 참고용으로만 보세요.


DNA가 한 가닥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반대편 정보를 이용해서 DNA의 오류를 고칠 수 있다. 그런데 DNA의 두 가닥이 모두 끊어지는 경우, DNA를 수리할 반대쪽 사본이 없다. 이를 Double Strand Break라고 하여 DSB라고 한다. 

이러한 DSB를 복구하는 기작은 우리 몸에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1) 상동 재조합 (Homologous Recombination, HR) 또는 Homology-Dependant Double Strand Break Repair (2) 두 번째는 비상동성 말단결합 (Non-Homologous End Joining, NHEJ)이다. 

(1) 상동 재조합은 끊어진 DNA를 다른 염색체 (사본)에 기반해 복구하는 방식이다. 인간은 동일 유전자를 두 쌍씩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한 쪽 DNA가 끊어진 경우, 끊어진 부분의 전후와 동일한 염기서열을 가진 DNA를 상동염색체에서 찾고 이를 견본 삼아서 끊어진 DNA를 복구하는 방법이다. 

끊어진 DNA의 한 쪽을 풀어내고, 이것이 반대쪽 염색체에 결합해 사본을 만들고, 서로 연결을 끊고 하는 복잡한 과정인데 이미지로 봐서는 잘 이해가 안된다. 아래 영상을 보면 좀 더 이해가 편하다. 복구 과정에서 두 DNA의 꼬임을 어떻게 해소하는지에 따라 각기 다른 결과물이 나온다. (이를 Holliday Junction Resolution이라고 한다. 오타 아니고 Holliday가 맞다)

두 상동 염색체가 서로 같은 유전정보를 담고 있을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만약 같은 경우 DSB가 거의 원래대로 복구 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상동유전자의 정보에 맞게 유전자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세포주기에서 주로 S 및 G2 단계에서 더 흔하게 일어난다. 


(2) 반면, 위와 같이 상동염색체를 이용해 복구하지 않고, 끊어진 염색체를 이어붙이기만 하는 복구방식도 있다. 이를 비상동말단봉합, NHEJ라고 부른다. 이 과정에서는 DNA의 일부가 소실되거나, 변이가 나타나는 등 잘못 복구될 수가 있는데, 이에 따라 특정 유전자의 Knock Out이 일어나기도 한다. 혹은 비상동 말단봉합은 G1단계에서 주로 나타난다. 역시나 영상으로 보는게 더 이해가 잘된다.  


이러한 유전자 복구 과정을 응용하여 문제가 되는 유전자를 무력화 하거나, 복구의 기반이 될 DNA Template를 함께 제공해 문제되는 염기서열을 수리하려는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다. 

 

유전자(DNA)의 손상과 복구 기전

들어가며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유전inheritance을 통해서 자신이 가진 개체의 정보를 다음 세대로 전달하며, 유전 정보를 가지고 있는 물질을 유전자gene라고 한다. 1944년 Oswald T. Avery는 DNA가 유

horizon.kias.re.kr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