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대학교 산림환경보호학과 김의경 박사님의 학위논문: 한국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행동생태, 서식지, 평가 및 유전학적 특성. [링크]
고라니는 주로 산림에 접해있는 경작지 인근에 서식. 우리나라 고라니는 산 중턱이하 산기슭이나 강기슭, 계곡, 풀숲, 평지의 버들밭, 억새가 우거진 황무지, 그리고 산기슭에 가까운 논에서 주로 서식하며, 해발 600m 이하에서 주로 관찰되었고, 봄에는 경작지 인근의 풀숲, 여름에는 강기슭이나 계곡 주변의 초지, 가을에는 야산의 풀숲과 논과 밭 속, 겨울에는 양지바른 논둑, 밭둑 등 인가지역까지 내려온다.
한국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주된 활동시간은 저녁 6시부터 오전 6시까지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며, 새벽 3시와 4시 사이에 가장 활동성이 높고 낮에도 빈번히 움직인다. (이런...)
고라니는 해발고도 600m 이하의 산림에서 서식하며 20도 이하의 경사도를 선호하며, 은신처는 수계를 인근으로 하는 지역에 집중되고 갈대밭이나 초지를 선호하며 하천을 따라 이동하고, 평지의 버들밭과 산기슭에 근접한 논과 밭을 서식지로 선호하며, 산비탈 풀숲과 식생밀도가 낮은 산림지역을 선호. (결국 강원도에서 잡기 적절한 동물은 아니라는 것 같다, 탁 트인 갈대밭과 개천이 있다면 딱일 듯.)
뭔가 무지렁이로서 제대로 이해하지는 못한 것 같으나, 설악산같이 사람이 많이 지나다니는 지역에서는 보다 좁은 움직임을 자주 보이고, 양구처럼 사람이 많지 않은 지역에서는 15시에 가장 활발하고, 13~17시에도 활동했다고. 물론 이 때는 여름이었으니까... 이 당시 행동권은 0.6㎢
- 아래는 또 다른 고라니의 행동생태라는 논문. [링크]
본 종의 서식 환경은 키가 큰 갈대밭 사이에서 서식하며, 하천을 따라서 이동하고 산에 있는 키가 큰 풀숲이나 경작된 들판에서도 서식하며, 특별히 일정한 장소에 잠자리를 두지 않고 마른 땅위에 잠자리를 만들고 주간 및 야간에 몇 분씩 잠을 자거나 휴식을 취한다. 본 종은 야행성 동물로 주간에는 남향의 사면 또는 평지에서 휴식을 취하고, 야간에 먹이를 섭취하며, 조심성이 많은 동물이다.
- 고라니의 형태, 생태 및 DNA 분류학적 특징 (이배근) [링크]
고라니는 뿔이 없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고, 특히 수컷의 경우 송곳니 가 예리한 송곳 모양으로 특별하게 자라서 끝이 구부러져 있으며 입 밖으로 나와 있는데、암컷은 수컷에 비해 송곳니가 덜 발달했다.
고라니는 물을 자주 마시며 수영을 잘하는 동물로 학명이 뜻하는 바와 같이 물을 좋아하는 동물 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에 서식하는 고라니는 주로 금강산 일대와 오대산, 설악산, 태백산을 거쳐 경주, 포항 등 울릉도와 독도,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내륙지역에 고루 분포한다고 하였다.
먹이가 풍부한 여름보다는 먹이를 구하기 어려운 겨울에 영역범위가 넓어지고, 고라니가 연간 활용하는 영역범위(home range)는 평균 21ha라 기록하 였고, 계절적인 활동범위는 18∼46ha라 보고하였다
고라니의 배설물 사진. 출처는 아래에. 동글동글한 검은콩 형태의 배설물이 특징. 뭉쳐있는 경우도 있다.
고라니의 발자국 사진. 하트모양같은 두쌍의 무늬가 특징.
고라니와 노루의 구분. 왼쪽이 고라니고 오른쪽이 노루다.
고라니는 뿔이 없는게 특징. 송곳니가 있는데 이건 수컷에게서 잘 관찰된다.
겨울에는 엉덩이의 백색 반점을 보고 구별할 수 있다. 반점이 없는게 고라니
그런데 기본적으로 고라니가 조금 더 쥐처럼 생겼다고 해야 하나...
'일상 및 잡것 > 수렵채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0808 버섯 본것들 (0) | 2021.08.08 |
---|---|
엽총의 산탄 범위와 사거리 (0) | 2020.12.17 |
포획승인신청서와 수렵용품 수령 (0) | 2020.12.09 |
멧돼지를 잡기 위해: 멧돼지의 서식지와 특성 (0) | 2020.11.22 |
사냥꾼 교육다큐(?) 백학의 포수들 (0) | 2020.11.22 |
2020년 강원도 광역수렵장 수렵가능지역 (0) | 2020.11.15 |
멧돼지 사냥 주의점, 팁 (0) | 2020.11.07 |
2020년 수렵장 설정고시 자세히 (0) | 2020.11.06 |